프린트 하기


서적 명 : 글로벌 스탠더드 데이터 모델



책소개

30년 노하우를 표준모델로 정석화 시킨


데이터 모델링의 새로운 패러다임


필자가 지난 30여 년간 오직 데이터를 위해 인생을 바쳐오면서 항상 꿈꿔왔던 것이 하나 있다면 그것은 바로 데이터 모델을 수학이나 바둑처럼 정석화시키는 것이었다. 정석은 과거에 이루었던 기술의 결정체이자 앞으로의 노력을 담는 그릇이다. 정석은 가장 짧은 시간에 과거를 효과적으로 계승시켜 주며, 그 바탕 위에서 미래를 발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최상의 수단이자 수많은 변화와 응용의 기준점이기도 하다. 세상은 무수한 현상들이 난립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모든 것들은 단지 정석을 기준으로 일정한 변화를 하고 있을 뿐이다. 모든 회사의 데이터 모델을 물리적으로만 보면 유사한 것이 전혀 없어 보이지만 상세화 작업을 하고, 다시 논리화 작업을 거치면 단지 내부의 구성과 값들의 차이만 있을 뿐이지 전체적인 형체는 매우 유사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데이터 모델링의 방법론을 설명하는 책이 아니다. IT 기술은 많아야 30%에 불과하고, 오히려 업무지식이 70%에 이르는 IT와 현장 업무의 퓨전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필자는 그 동안 수많은 기업들의 데이터를 깊이 경험해 왔고, 다양한 종류의 ERP패키지들까지 두루 섭렵해왔다. 덕분에 거의 모든 업종을 경험할 수 있었고, 동종 업체라도 그 미묘한 차이까지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책은 모든 업종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표준 정석을 주제영역별로 개념을 정립하였고, 여기에 업종간의 미묘한 차이를 반영하여 보다 실전적인 정석을 제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목차

제1부. 데이터 아키텍처의 수립전략 

1장. 정보기술 아키텍처의 등장과 그 후 

1.1 정보기술 아키텍처의 등장배경 

1.1.1 경영환경의 기상변화 

1.1.2 산업 전반의 IT 주요쟁점(Issue) 

1.2 정보기술 아키텍처의 개념 

1.2.1 정보기술 아키텍처의 개요 

1.2.2 정보기술 아키텍처의 성공요인 

1.2.3 전사적 아키텍처의 구성 

1.2.4 전사적 아키텍처의 프레임워크 

1.2.5 주요 아키텍처의 개념 비교 

1.2.6 데이터 아키텍처가 중요한 이유 

1.3 아키텍처 수행결과에 대한 평가와 반성 

1.3.1 수행한 내용에 대한 고찰 

1.3.2 수행한 조직에 대한 비판 

1.3.3 관리와 통제에 대한 반성 

1.3.4 데이터 아키텍처의 도입 수준 


2장. 데이터 아키텍처의 개요 

2.1 데이터아키텍처의개념 

2.1.1 데이터 아키텍처의 구성 

2.1.2 데이터 아키텍처와 데이터 모델링의 비교 

2.1.3 데이터 구조영역의 단계별 개념 

2.1.3.1 개괄적(Contextual) 모델 

2.1.3.2 개념적(Conceptual) 데이터 모델 

2.1.3.3 논리적(Logical) 모델 

2.1.3.4 물리적(Physical) 모델 

2.1.3.5 부가적(Out-of-context) 단계 

2.1.4 데이터 흐름영역의 단계별 개념 

2.1.4.1 개괄적 데이터 흐름 단계 

2.1.4.2 개념적 데이터 흐름 단계 

2.1.4.3 논리 교환규칙 정의 단계 

2.1.4.4 물리 변환규칙 정의 단계 

2.1.5 데이터 관리체계의 수립 

2.1.5.1 데이터 관리정책 수립 

2.1.5.2 데이터 관리체계의 정의 

2.1.5.3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의 정의 

2.1.5.4 데이터 관리조직의 역할 정의 

2.1.5.5 데이터 거버넌스 시스템 구축 


3장. 데이터 구조의 혁신 전략 

3.1 데이터 구조의 혁신화 방안 

3.1.1 데이터 구조의 혁신이 필요한 이유 

3.1.2 데이터 구조혁신을 위한 고려요소 

3.1.3 주목받기 시작한 데이터 아키텍처의 신역할론 

3.1.4 마스터(Master) 데이터의 구조 혁신 

3.1.4.1 마스터 데이터의 정의 

3.1.4.2 마스터 데이터 관리의 필요성 

3.1.4.3 CRM은 MDM의 반면교사 

3.1.4.4 MDM 시스템 구축의 성공전략 

3.1.4.5 MDM의 미래 가치 



제2부. 스탠더드 데이터 모델의 개요 

1장. 스탠더드 데이터 모델의 등장 배경 

1.1 기존 데이터 모델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문제점 

1.1.1 데이터 모델에 대한 기존의 인식 

1.1.2 구조적 측면에서 바라 본 문제점 

1.1.3 관리적 측면에서 바라 본 문제점 

1.2 문제해결의 대안으로서의 스탠더드 모델 

1.2.1 스탠더드 모델이 가진 의미 

1.2.2 스탠더드 데이터 모델의 적용 효과 


2장 스탠더드 데이터 모델의 기본 개념 

2.1 데이터 모델의 본질에 대한 개괄적 고찰 

2.2 물리적 개체와 논리적 개체에 대한 이해 

2.2.1 물리적 개체와 논리적 개체의 개념비교 

2.2.2 논리적 개체의 진정한 의미와 역할 

2.2.3 논리적 개체의 유형별 사례 

2.3 스탠더드 데이터 모델의 골격 

2.3.1 스탠더드 데이터 모델의 개관(槪觀) 

2.3.2 전사관계자(Involved Party) 영역의 개요 

2.3.3 상품/서비스(Product or Service) 영역의 개요 

2.3.4 계정(Account) 영역의 개요 

2.3.5 서비스 약정(Service Agreement) 영역의 개요 

2.3.6 가격정책(Price Policy, Price Plan) 영역의 개요 

2.3.7 청구/입금(Charge & Payment) 영역의 개요 

2.3.8 미납관리(Collection) 영역의 개요 

2.3.9 통합 자원(Resource) 영역의 개요 

2.3.10 오더관리(Order Management) 영역의 개요 

2.3.11 인벤토리(Inventory) 영역의 개요 

2.3.12 업무처리(Business Action) 영역의 개요 


3장. 스탠더드 데이터 모델의 이해를 위한 선결 요건 

3.1 엔터티 통합의 이해 

3.1.1 엔터티 통합의 진정한 의미 

3.1.2 통합 엔터티의 독립성 

3.1.3 통합 엔터티의 정의 원칙 

3.2 관계 통합의 이해 

3.2.1 관계 통합의 진정한 의미 

3.2.2 직렬식과 병렬식 관계의 비교 

3.2.3 순환구조의 관계 통합 

3.3 속성 통합의 이해 

3.3.1 속성 통합의 진정한 의미 

3.3.2 속성 통합과 분리의 결정기준 

3.3.3 속성 통합의 새로운 표현법 

3.4 통합 모델의 기본형 

3.4.1 기본형의 구성 

3.4.2 표준 모델이 높은 유연성을 가지는 이유 

3.4.3 기본형의 적용 유형 

3.5 데이터 모델에 대한 편견과 오해의 해소 

3.5.1통합과 명확성의 상관관계 

3.5.2통합과 독립성의 상관관계 

3.5.3모델링은 누가해도 유사하다? 

3.5.4데이터 모델은 업무규칙에 종속적이다? 

3.5.5표준은 현실세계를 모두 반영할 수는 없다? 

3.5.6업종의 특성이 표준에 미치는 영향 

3.5.7물리모델 전환에 대한 편견의 해소 


4장. 핵심 스탠더드 데이터 모델의 상세 

4.1 전사관계자 영역의 상세 

4.1.1전사관계자 영역에 대한 개요 

4.1.2전사관계자 영역의 서브타입 

4.1.2.1 사람관계자(Person Party)의 상세 

4.1.2.2 조직관계자(Organization Party)의 상세 

4.1.2.3 그룹관계자(Group Party)의 상세 

4.1.2.4 역할관계자(Role Party)의 상세 

4.1.2.5 비배타적 서브타입(Inclusive Subtype) 

4.1.2.6 전사관계자의 업종별 사례 연구 

4.2 상품/서비스(Product or Service) 영역의 상세 

4.2.1상품/서비스 영역에 대한 새로운 이해 

4.2.1.1 기존 상품/서비스 관리 방식의 문제점 

4.2.1.2 상품/서비스 개념의 재정립 

4.2.1.3 고객 맞춤형 상품/서비스의 개념 

4.2.2상품/서비스 영역의 기본형 상세 

4.2.2.1 상품/서비스 영역의 기본형 

4.2.2.2 상품/서비스의 관계 정의 

4.2.3상품/서비스 영역의 응용형 

4.2.3.1 판매상품과 기능상품의 개념 

4.2.3.2 보험형 상품/서비스 모델 

4.2.3.3 기타 업종별 상품/서비스 모델 사례 

4.3 계정(Account) 영역의 상세 

4.3.1고객 계정(Customer Account) 영역의 상세 

4.3.1.1 고객 계정의 개념 정립 

4.3.1.2 고객 계정의 개체단위 결정 

4.3.2서비스 계정(Service Account)과 청구 계정(Billing Account 

4.3.2.1 서비스 계정의 상세한 개념 

4.3.2.2 청구 계정의 상세한 개념 정립 

4.3.2.3 서비스 계정과 청구 계정의 연관성 

4.3.2.4 ACCOUNT 모델의 표준형 

4.3.2.5 ACCOUNT의 다계층 구조와 GROUP 

4.3.3ACCOUNT 모델의 사례 연구 

4.3.3.1 대학의 ACCOUNT 모델 

4.3.3.2 온라인 게임 ACCOUNT 모델 

4.3.3.3 이동통신 ACCOUNT 모델 

4.3.3.4 은행업무 ACCOUNT 모델 

4.3.3.5 보험업무 ACCOUNT 모델 


부록글로벌 스탠더드 데이터 모델링 훈련용 사례


[예스24 제공]